세 살 아들, 친구 같은 아빠가 정답일까? 따뜻한 권위자가 답이었습니다.
세 살 아들, 친구 같은 아빠가 좋을까? 따뜻한 권위자가 정답이었습니다 베트남 하이퐁 이야기입니다. 육아는 누구에게나 처음이고, 특히 아빠 입장에서는 더 낯선 도전입니다. 최근 저 역시 이런 고민에 빠졌습니다. "아들과 친구처럼 지내야 할까, 아니면 좀 더 단호하고 엄한 태도가 필요할까?" 제가 요즘 느끼는 가장 큰 걱정은, 아들이 점점 제 말은 우습게 여기고, 원하는 게 안 되면 화를 내거나 울며 떼를 쓴다는 겁니다. 아내는 “아빠가 너무 다 받아주니까 아이가 응석받이가 되어간다”고 지적하고요. 이 고민을 하던 중, 한국의 한 지인에게서 충격적인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지인의 아들이 중학생인데, 평소 모든 요구를 거의 다 들어주며 키워왔답니다. 그런데 최근에는 원하는 걸 거절당하자 아파트 12층에서 뛰어내리겠다고 협박하는 상황까지 갔다고 합니다. 결국 지인은 “너무 후회된다, 이제는 돌이킬 수 없는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저 역시 아직 어린 아이를 키우는 입장에서, 이 이야기가 깊이 와닿았습니다. 친구 같은 아빠와 엄한 아빠, 어느 쪽이 맞는가? 일반적으로 많은 부모들이 ‘친구 같은 부모’가 아이에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아이와 감정을 공유하고 편하게 지내는 것이 좋다는 믿음 때문이죠. 하지만 아동심리 전문가들은 한 목소리로 이야기합니다. 진짜 아이의 미래를 위해 좋은 부모는 ‘따뜻한 권위자’라고요. ‘친구 같은 아빠’는 아이에게는 재미있고 편안한 존재지만, 통제력이나 자기조절 능력을 가르치기에는 부족합니다. 반대로 ‘엄하기만 한 아빠’는 아이를 위축시키고 반항심을 키우기 쉽습니다. 결국 정답은 감정에는 공감하고, 행동에는 분명한 기준을 세워주는 '권위 있는 부모(authoritative parent)'라는 결론입니다. 세 살 아이에게 꼭 필요한 ‘좌절 훈련’ 이 시기의 아이는 감정을 조절하는 뇌가 아직 미숙하기 때문에, 작은 좌절에도 크게 울고 분노합니다. 하지만 이 시기를 잘 넘기면 아이는 자기조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