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퐁 공장 매매 실전 리포트 : 중고 공작기계 수입과 통관, 실제 투자자 대화까지


하이퐁 공단 공장 매매 현장기: 중고 공작기계 세팅과 통관, 실투자 대화까지 (2025년 4월 기준)

베트남 하이퐁 이야기입니다. 

오늘은 하이퐁 한인회 회장님을 따라 방문한 공단 내 공장 매매 현장을 기록으로 남겨보려 합니다. 단순히 부동산 소개나 시설 스펙 나열에 그치지 않고, 현장에서 오간 대화, 기술적 이슈, 통관 절차에 대한 현실적인 이야기까지 함께 담았습니다.

하이퐁 공단의 입지와 매물 공장 정보

이번 방문지는 투이응우옌(Thuy Nguyen) 지역에 위치한 공단으로, 베트남 내에서도 드물게 친환경 생태 산업단지로 지정된 곳입니다. 하노이와 가까운 교통 접근성과 항구 도시 하이퐁의 물류 인프라를 동시에 갖춘 입지입니다. 특히 공단 내 기반시설이 잘 조성되어 있어 외국계 제조기업 유치에 적합한 지역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현장에서 살펴본 공장의 주요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 대지 면적: 약 10,080 제곱미터
  • 건물 면적: 약 3,600 제곱미터
  • 주요 생산 품목: 자동차 부품용 전선, 케이블 타이 등

건물 내부에는 프레스, CNC 선반, 머시닝센터 등 고정형 중장비 설비들이 이미 설치되어 있으며, 대부분 한국에서 반입한 중고 장비라고 합니다.

중고 공작기계 수입과 통관: 실제 경험자의 이야기

개인적으로는 예전에 한국에서 중고 공작기계 매매 사업을 하시던 사촌형을 1년가량 도와드린 경험이 있어, 공장 설비의 구성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없었습니다. 현장 점검을 마치고 대표님과 차를 마시며 자연스럽게 장비 관련 질문을 드릴 수 있었습니다.

“이 공장 처음 세팅하실 때, 기계는 신품이었나요?”

대표님은 대부분의 장비가 중고였고, 한국 본사에서 들여온 것들도 일부 포함되어 있다고 설명하셨습니다. 이에 저는 통관 관련 질문도 덧붙였습니다.

“한국에서 중고 공작기계를 수입하려면 통관이 어렵다고 들었는데, 실제로는 어떤가요?”

대표님의 답변은 현실적이었습니다.
“요건을 제대로 갖추면 통관은 충분히 가능해요. 관건은 서류 준비와 수입 기계의 기준 충족 여부입니다. 경험 많은 통관 대행 업체를 통하면 큰 문제 없이 해결됩니다.”

특히 기계의 생산연도, 안전기준 적합성, 잔존 수명 등 서류가 핵심 요소라는 점을 강조하셨고, 국가검사소(KIEM DINH) 사전 검토 여부도 중요한 요소로 언급하셨습니다. 이 과정에서 기술역 번역 및 공증, 하노이 세관협의 경험 등이 필요하다는 현실적인 조언도 있었습니다.

매수자와 현장 검토: 실질적인 검토 포인트는 '바닥 수평'

이 공장을 검토 중인 기업은 한국 본사와 베트남 박닌에 생산거점을 둔 1차 밴더입니다. 이미 두 차례 이상 현장을 방문해 기계 구조와 레이아웃을 직접 확인했고, 대표님과의 면담에서도 구체적인 검토가 오갔습니다.

의외로 가장 심도 깊게 논의된 포인트는 바닥의 수평 문제였습니다. 대형 장비를 운용할 경우, 바닥의 평탄도는 제품 정밀도와 유지보수 비용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하이퐁 한인회 회장님께서 언급하신 참고 사례도 인상적이었습니다.

“지인 업체가 최근 건평 약 4,600 제곱미터 규모 바닥 시공을 했는데, 공사 비용이 상당히 나왔어요.”

이 발언은 단순한 견적 비교를 넘어, 장비 설치의 정확성과 장기 운영 안정성까지 고려해야 한다는 시사점으로 받아들여졌습니다.

투자 현장에서 느낀 연결자의 역할

이날 저는 단순한 배석자가 아닌, 기록자로서의 역할을 자임했습니다. 하이퐁에서 정착한 외국인으로, 이런 산업 현장의 실제 대화를 직접 관찰하고 기록하는 경험은 드물기에, 매우 값진 시간이었습니다.

특히 한국의 기술 기반과 베트남의 생산환경을 연결할 수 있는 실무적 역량과 경험의 중요성을 새삼 실감했습니다. 언어와 문화, 행정 절차까지 포괄적으로 이해하고 연결할 수 있는 사람이 부족한 지금, 이중문화 경험을 갖춘 제가 할 수 있는 역할이 분명 존재함을 느꼈습니다.

마무리: 단순한 기록을 넘어선 산업 콘텐츠의 시작

하이퐁이라는 땅에서의 정착은 단순한 거주가 아니라, 삶의 기반을 찾는 과정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번 공장 방문 기록을 통해, 단순한 부동산 소개가 아닌 실제 제조업 투자 환경의 흐름, 통관의 현실, 기술적 검토 포인트를 생생하게 전달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앞으로도 이런 콘텐츠를 통해, 베트남 산업 진출을 고려하는 분들에게 실질적인 정보와 판단 기준을 제공하는 ‘기록자’의 역할을 꾸준히 해 나가고자 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