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민생회복 소비쿠폰 총정리 – 사용시기, 신청방법, 사용처까지 한눈에
.jpg)
2026년 베트남 최저임금 협상 돌입! 하이퐁 지역 월급은 얼마가 될까?
베트남 하이퐁에서 생활하고 계시다면, 매년 이맘때쯤 가장 민감하게 다가오는 소식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최저임금 인상 여부’입니다. 물가도 오르고 생활비도 느는데, 급여는 그대로일 때 느끼는 답답함.
2026년 최저임금 협상을 앞두고 정부·노동계·경영계 간 팽팽한 줄다리기가 시작됐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그 내용과 함께 하이퐁 지역 거주자로서 실질적으로 어떤 영향을 받을 수 있을지 정리해 보겠습니다.
지난 2025년 6월 26일, 베트남 국가임금위원회(National Wage Council)가 2026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1차 회의를 개최했습니다. 높은 인플레이션과 생활비 상승 압박 속에서 올해 협상의 핵심 쟁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노동계(VGCL): 경제성장률 이상, 최소 8.3~9.2% 인상을 주장하며 "노동자들의 실질 생활비를 보장해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경영계(VCCI): 기업 부담을 고려해 3~5% 수준 인상을 제안했습니다. "2023년과 2024년 연속 인상으로 생산원가가 상승했다"는 우려를 표명하고 있습니다.
전문가 권고안: 지난해 인상률(6%)과 유사한 수준인 6.5~7%를 균형점으로 제시했습니다.
시행 시기에도 의견 차가 존재합니다. 노동계는 올해 하반기부터 즉시 인상을, 경영계는 2026년 1월 1일부터 적용을 주장하고 있어 조율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하이퐁은 베트남 최저임금 지역 분류상 1 지역 또는 2 지역에 속한 공단·산업단지가 많아 최저임금 수준이 높은 편입니다. 현재 2025년 기준 최저임금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지역 (하노이, 호민, 그리고 하이퐁 내 즈엉낀(Dương Kinh), 하이안(Hải An), 끼엔안(Kiến An), 홍방(Hồng Bàng), 응오꾸옌(Ngô Quyền), 레쩐(Lê Chân) 및 주요 공단 지역)
월 4,960,000동 (한화 약 28만 원)
시급 기준 약 23,800동 (한화 약 1,350원)
4 지역 (농촌 지역)
월 3,450,000동 (한화 약 19만 5천 원)
시급 약 16,600동 (한화 약 940원)
만약 2026년 인상률이 전문가 권고안인 6.5%로 결정될 경우, 하이퐁 1 지역의 월 최저임금은 약 5,282,400동 전후가 될 전망입니다. 이는 한화 약 29만 8천 원 수준으로, 여전히 한국 기준과 비교하면 낮은 편이지만, 하이퐁 현지에서의 체감 생활비 수준과 비교하면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최저임금 인상은 단순히 숫자가 오르는 것을 넘어, 베트남 내 노동 시장과 소비 시장 전반에 영향을 미칩니다.
노동자 입장: 인상폭에 따라 월 수입이 20~30만 동 증가할 수 있어 생활의 여유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특히 자녀 교육비나 식비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사업자 입장: 직원 1인당 추가 비용 부담이 커질 수 있습니다. 특히 제조업이나 소매업 중심의 소규모 사업장은 인건비 전략 조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외국인 가정: 도우미, 베이비시터, 청소 인력 등 가사 고용 인력에게 지급하는 임금 기준도 최저임금에 연동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최저임금 인상 시 가정 고용 비용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한편, 실업급여 제도도 2025년 국회 통과로 변경되었습니다. 이는 고용 환경 전체의 변화 흐름을 읽는 중요한 참고 자료입니다.
최대 12개월 지급, 이직 전 평균 임금의 60% 수준으로 지급됩니다.
실직 시 건강보험도 자동으로 연계 유지됩니다.
이는 기금 안정성과 사회 안전망 사이의 균형점을 고려한 조치로 보입니다. 하지만 실직 경험이 없는 이들에게는 체감도가 떨어지므로, 베트남의 사회 보장 시스템이 점진적으로 강화되고 있다는 신호로 이해하면 좋습니다.
2026년 최저임금 인상률은 오는 8~9월 중 최종 확정 발표될 예정입니다. 하이퐁에 거주하거나 사업을 준비 중인 교민이라면 다음 사항을 체크하세요.
✅ 최저임금 인상폭에 따라 생활비 구조 변화 가능성 ✅ 고용 비용 조정 시기 예측 ✅ 현지 직원 관리 및 급여 설계 조율 필요
이번 인상 협상이 단순한 숫자 조정이 아닌, 베트남 노동 시장과 소비 시장의 중요한 변화를 반영한 신호임을 감안하시기 바랍니다.
© 선우아빠. All rights reserved. 본 콘텐츠는 창작자의 허락 없이 무단 복제 및 배포할 수 없습니다.
댓글
댓글 쓰기